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2 No.1 pp.46-53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3.22.1.46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risk from formaldehyde exposure in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in Seoul

Jin-Sol Park, Myung-Kyu Park, Ho-Jun Rhee, Min-Jeong Seo, Mi-Hee Jang, Soo-Seock Cho, Byung-Chul Min, Eun-Sun Park, Sang-Hoon Lee, Min-Seung Ko, Chang-mo Kim, Seok-Ryul Oh, Seung-Mi Kwon*, Jin-Ho Shin, Yong-Seung Sh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Corresponding Author: Tel: +82-2-570-3300 E-mail: dotcom@seoul.go.kr
20/01/2023 16/03/2023 22/03/2023

Abstract


Vulnerable populations in healthcare facilities are more sensitive to exposure to indoor air pollutants, and therefore are more affected by such pollutants than the general population. This was the underlying reason why studies of indoor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health risk assessment have been conducted targeting facilities, such as daycare centers, medical facilities, elderly care facilities, and postnatal care center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daycare and medical facilities for their research, and relatively speaking, studies conducted on the other venues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indoor air quality and perform a health risk assessment in regard to Formaldehyde exposure at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Here, the study focused on facilities that had undergone pollution level inspections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21. A total of 81 postnatal care centers and 48 elderly care faciliti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n, the study utilized concentrations of five elements (CO2, HCHO, PM10, PM2.5, TBC) to determine the status of indoor air quality of both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For health risk assessment, HCHO concentration was used. The investigation demonstrated that the yearly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five elements stood within the indoor air quality maintenance standards, and the ratio of PM2.5 to PM10 in the two types of facilities was distributed as high as about 70%. In addition, the study showed that HCHO and TBC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 the five elements was examined. The health risk assessment showed that the cancer risk level of postnatal care center users stood below 10-6, below the level that is perceived as an acceptable risk. The cancer risk of workers from both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and elderly care facility users exceeded the acceptable risk level of 10-6, but was shown to be below 10-4, the maximum acceptable risk.



서울시 내 산후조리원과 노인요양시설의 실내공기질 현황 및 폼알데하이드 노출로 인한 건강위해성평가

박 진솔, 박 명규, 이 호준, 서 민정, 장 미희, 조 수석, 민 병철, 박 은선, 이 상훈, 고 민승, 김 창모, 오 석률, 권 승미*, 신 진호, 신 용승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현대인은 하루 24시간 중 약 20시간 이상을 실내에 서 보내고 있으며 그 중 약 14시간 이상을 주택에서 보내고 있다(NIER, 2010). 즉, 하루 중 90% 이상을 실 내에서 보내고 있어 실외 대기보다 실내공기 오염물 질에 더 많은 인체 영향을 받고 있다(Jang et el., 2017). 대표적인 실내공기 오염물질에는 이산화탄소(CO2), 폼알데하이드(HCHO),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 (PM2.5), 총부유세균(TBC) 등이 있다. 그 중 CO2는 사 람의 호흡을 통해 배출되며 호흡 중에 CO2가 4% 이 상이 되면 호흡곤란, 두통 등을 유발한다. HCHO는 건 축자재에서 방출되며 눈, 코, 목 등에 자극을 주고 발 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ME, 2002). PM10의경우 2013 년도에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였으며(Jang et el., 2017) PM2.5는 흡입 시 폐포에 깊숙이 침투하여 호흡 기 및 심혈관계 질환 등 각종 질환을 유발한다고 알 려져 있다(KEI, 2012). 또한 총 부유세균(TBC)의 경우 빌딩증후군의 주요 원인으로 감염성질환, 알레르기 성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Heldal et al., 2003;Hwang et al., 2017) 따라서 환경부에서는 실내공기질 관리법을 제정하여 PM10, PM2.5, CO2, HCHO, TBC, 일산화탄소(CO) 6개 항목을 유지기준 으로, 이산화질소(NO2), 라돈(Rn), 총휘발성유기화합 물(TVOC), 곰팡이 4개 항목을 권고기준으로 설정하 고 법 적용 다중이용시설에 대해 자가측정 의무 및 지 자체 지도점검 시 유지기준 의무를 부여하여 실내공 기질 개선 및 유지관리를 하고 있다.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건강영향은 실내에서 생활하 는 수용체에 따라 양상이 다른데 특히, 노인, 영·유아, 임산부, 어린이 등 건강취약계층은 일반성인보다 실 내공기 오염물질에 민감하여(Kim et al., 2007) 더 많 은 인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연구(Yang et al., 2010;Choi et al., 2013)에서는 건강취약계층이 이 용하는 시설(어린이집, 의료시설, 노인요양시설, 산후 조리원 등)에 대하여 농도분포 조사 및 건강위해성 평 가를 수행한 사례가 있다. 하지만 주로 어린이집, 의 료시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상대적으로 산후조리원,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내 산후 조리원과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현황 을 파악하고, 각 시설의 HCHO 농도를 바탕으로 건강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2017년 1월 ~ 2021년 12월까지 오염도 검 사를 수행한 시설 중 산후조리원(81개소), 노인요양 시설(48개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내공기질 관 리법유지기준 항목인 PM10, PM2.5, CO2, HCHO, TBC 5개 항목 측정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 였다. PM2.5의 경우에는 실내공기질 관리법개정 (2018.10.18.)으로 2019년 7월부터 유지기준 항목으로 적용되어 2019년 7월 ~ 2021년 12월까지 수행한 각 연 구대상의 오염도 검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2.2 시료 채취 및 분석

    오염도 검사 시 시료채취 위치 및 각 항목의 측정 및 분석은 실내공기질 공정시험 기준에 따라 실시하 였다. 시료채취 위치의 경우 조사 대상시설의 오염도 를 대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곳을 선정하였고 시료 채취지점의 중앙 점에서 바닥 면으로부터 1.2 m ~ 1.5 m 에서 수행하였다. 또한 측정지점에 자연환기구나 기 계환기설비의 급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가능 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채취하였다. 각 항목의 측정 및 분석은 CO2의 경우 비분산적외선법 측정기(IQ- 610Xtra, Gray wolf Sensing solution)를 사용하여 5분간 격으로 12회 연속 측정하여 총 1시간 측정하였다. PM10, PM2.5의 경우 중량법으로 미니볼륨에어샘플러(BMW- 3000/2500, 토탈코리아)를 사용하여 각각 5 L/min, 7 L/ min 유량으로 24시간 동안 채취하였으며 채취 전 후 여지의 무게차이를 측정하여 농도를 산출하였다. HCHO 의 경우 DNPH 카트리지와 오존 스크러버를 펌프(DGS- 101, Greensolus)에 설치하여 유량 1 L/min으로 30분간 2회 측정하여 총 1시간 측정하였다. 측정 후 분석은 아 세토니트릴로 추출한 후 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LC- 20A series, Shimadzu)로 분석하였다. TBC의 경우 TSA 배지가 장착된 채취기(MAS-100, Merck)로 공기 중 미 생물이 배지에 충돌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20분 간격 으로 3회 연속 측정하였다. 측정 후 배지는 35°C ± 1°C 에서 48시간 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집락 수를 계 수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2.3 위해성평가

    위해성 평가의 경우 유해성 확인, 용량반응평가, 노 출평가, 위해도 결정 순으로 진행하였으며 결정론적 위해성평가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확률 론적 위해성 평가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결 정론적 위해성평가 시에는 CTE (Central tendency exposure), RME (Reasonable maximum exposure)를 산 출하였으며 확률론적 위해성 평가 시에는 초과 발암 위해도 확률분포의 평균값, 최대값, 및 50%, 70%, 90%, 95% 값을 산출하였다.

    2.3.1 유해성 확인 및 용량반응평가

    HCHO의 유해성 확인을 위하여 “환경 유해인자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절차와 방법 등에 관한 지침”에 따라 과거 문헌 및 IARC (2022) 분류를 참고하여 급성 /만성 독성, 유전독성, 면역독성, 발암성 등을 조사하 였고 용량반응평가 단계에서는 IRIS (US EPA, 1990) 자료를 이용하여 HCHO의 단위위해도를 확인하였다 (Table 1).

    2.3.2 노출평가

    노출평가의 경우 조사대상시설 이용자 및 근무자 의 일일호흡률(Inhalation rate), 노출시간(exposure time), 노출기간(exposure duration), 노출빈도(exposure frequence), 체중(body weight), 평균수명(life time) 등 을 조사하고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평생일일평균용 량(LADDs)를 산출하였다. 평생일일평균용량 산출 시 적용했던 각 노출인자들은 문헌조사 및 과거 연구자 료를 이용하였으며, Table 2에 나타내었다.

    L A D D s = C × I R × E D B W × L T

    여기서,

    • LADDs : lifetime average daily dose (mg/kg/day)

    • C : contaminant concentration in inhaled air (μg/m3)

    • IR : inhalation rate (m3/day)

    • ED : exposure duration (days)

    • BW : body weight (kg)

    • LT : lifetime (days)

    2.3.3 위해도 결정

    조사한 일일호흡률과 체중 자료를 이용하여 단위 위해도를 발암잠재력으로 보정한 후, LADDs를 곱하 여 초과발암위해도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초과발암 위해도는 EPA에서 제시하고 있는 위해도 허용기준 치(10-6~10-4)와 비교하였다(US EPA, 1992).

    U n i t r i s k = C P F × C o n t a c t r a t e B W E C R = L A D D s × C P F

    여기서,

    • CPF : cancer potential factor (mg/kg/day)-1

    • Contact rate : inhalation rate (m3/day)

    • BW : body weight (kg)

    • ECR : excess cancer risk

    • LADDs : lifetime average daily dose (mg/kg/day)

    2.4 통계분석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Microsoft Excel 및 R (ver.4.0.5)을 이용하였으며, 건강위해성 평가는 crystal ball fusion edition (ver.11.1.2.4)을 이용하여 노출시나 리오에 따라 입력변수를 100,000번 추출하여 종속변 수인 건강위해성을 확률분포로 나타내었다.

    3. 연구결과 및 고찰

    3.1 시설별 오염물질 농도

    각 시설의 5개 항목에 대한 연도별 평균 농도 조사 결과, 모두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이내로 조사되었다 (Table 3).

    Fig. 1은 연도별 각 시설의 5개 항목 농도분포를 나 타내었다. CO2와 HCHO의 경우 산후조리원이 노인 요양시설보다 농도가 높게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CO2의 경우에는 산후조리원은 산모의 회복과 신생아의 체온 유지를 위해 환기를 최소화하기 때 문에 노인요양시설보다 높은 농도로 나타낸 것으로 보이며 이는 Joen et al. (2021)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CHO의 경우 측정 당시 리모델 링한 산후조리원이 많았으며 시설 특성상 높은 온 도와 상대습도를 유지하여(ME, 2012) HCHO가 상 대적으로 많이 방출되었기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 었다. PM2.5는 산후조리원보다 노인요양시설에서 농 도가 높게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기존 연구 (Braniš et al., 2005;Choi, 2008)를 보면 실내 PM2.5 미만의 초미세먼지 농도 증가는 실내발생원에 의한 증가보다는 외기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대기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각 연 구대상의 연도별 측정일의 PM2.5 외기 농도를 조사 해 본 결과 2019년 산후조리원의 경우 11.8 ± 4.2, 노 인요양시설의 경우 23.0 ± 15.0, 2020년에는 산후조 리원의 경우 17.3 ± 8.5, 노인요양시설은 21.0 ± 14.9 이었으며 2021년에는 산후조리원의 경우 17.3 ± 6.8, 노인요양시설은 19.0 ± 9.2로 모두 노인요양시설의 PM2.5 외기 농도가 높았다. 이를 통해 각 연구 대상 시설의 측정당시 PM2.5 외기 농도의 영향으로 산후 조리원보다 노인요양시설의 실내 PM2.5 농도가 높 게 분포하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3.2 조사 대상 시설의 PM10, PM2.5 분포 특성

    각 시설의 PM10, PM2.5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PM2.5와 PM10의 농도비를 산출해 보았다. 산출 결과 산 후조리원, 노인요양시설의 PM2.5와 PM10의 농도비는 각각 0.69 ± 0.13, 0.67 ± 0.14 값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산후조리원과 노인요양시설에서 PM2.5가 PM10 에 차지하는 비율이 약 70%로 높기 때문에 PM2.5 관 리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PM2.5의 경우 실내 활동 중에서 요리를 통해 배출되는 농도가 가장 높으며 실 내 요리 등 연소를 통한 배출이 없다면 외기와의 교 환이 중요하다는 연구결과(Kang et al., 2020a)가 보고 된 바 있어 산후조리원과 노인요양시설에서 조리 활 동 시 레인지 후드를 사용하며 조리 종료 시에는 레 인지 후드만으로는 실내에서 확산된 PM2.5를 제거하 지 못하므로 환기장치 가동이 필요하다(Kang et al., 2020b). 또한 공기청정기 사용 시 실내 PM2.5 농도를 67.0% 저감한 결과를 나타낸 Han et al. (2019)의 연구 를 통해 외기 PM2.5 농도가 높을 경우 적절한 횟수와 시간으로 환기를 하되 공기청정기 등을 사용하여 실 내의 PM2.5 농도를 줄일 필요가 있다.

    3.3 측정항목과 온·습도와의 상관관계

    각 측정항목과 실내 환경요소 중 온도와 상대습도 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상관관계 산출 결과를 나타낸 Table 4를 보면 HCHO와 온·습도의 경우 양의 상관관계(r = 0.48, 0.54, p < 0.01)를 갖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TBC 또한 HCHO와 마찬가지로 온·습도와 양의 상관관계(r = 0.43, 0.39, p < 0.01)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Lee et al. (2013)연구와 유사한 연구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해 산후조리원과 노인 요양시설의 HCHO와 TBC 농도관리에 온·습도가 중 요한 요인 중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3.4 건강위해성평가 결과

    3.4.1 결정론적 위해성평가 분석결과

    결정론적 위해성평가 분석결과는 Table 5에 나타내 었다. HCHO의 산후조리원 이용자 발암위해도는 CTE 에서 1.47 × 10-7, RME에서 5.29 × 10-7으로 모두 허용 위 해도인 10-6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산후조리원 근무자의 경우에는 CTE에서 1.19 × 10-5, RME에서 3.31 × 10-5으로 모두 허용위해도인 10-6은 초과하였으 나 최대 허용기준인 10-4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HCHO의 노인요양시설 이용자 발암위해도는 CTE 에서 3.01 × 10-6, RME에서 8.69 × 10-6으로 모두 허용위 해도인 10-6은 초과하였으나 최대 허용기준인 10-4 미 만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노인요양시설 근무자의 발 암위해도는 CTE에서 3.35 × 10-6, RME에서 8.06 × 10-6 으로 이용자의 발암위해도와 마찬가지로 모두 허용 위해도인 10-6은 초과하였으나 최대 허용기준인 10-4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3.4.2 확률론적 위해성 평가결과

    확률론적 위해성 평가 결과는 Table 6에 나타내었 다. HCHO의 산후조리원 이용자 발암위해도는 50th 에서 1.53 × 10-7, 95th에서 4.33 × 10-7으로 모두 허용 위 해도인 10-6미만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산후조리원 근무자의 경우 50th에서 1.24 × 10-5, 95th에서 3.52 × 10-5으로 모두 허용위해도인 10-6은 초과하였으나 최 대 허용기준인 10-4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HCHO의 노인요양시설 이용자 발암위해도는 50th 에서 3.16 × 10-6, 95th에서 8.35 × 10-6으로 모두 허용위 해도인 10-6은 초과하였으나 최대 허용기준인 10-4 미 만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노인요양시설 근무자의 발 암위해도는 50th에서 3.52 × 10-6, 95th에서 9.30 × 10-6 으로 이용자의 발암위해도와 마찬가지로 모두 허용 위해도인 10-6은 초과하였으나 최대 허용기준인 10-4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앞서 산후조리원, 노인요 양시설의 이용자 및 근무자를 대상으로 한 결정론적 위해성 평가 분석의 CTE, RME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 내었다. 또한 본 연구의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와 근무 자 평균 발암위해도 값은 Shin et al. (2018)의 노인요 양시설 이용자와 근무자 평균 발암위해도(4.7 × 10-6, 6.2 × 10-6) 비교해 보았을 때 다소 낮게 나타내었다. 이 는 면적이 더 작은 시설에서 HCHO 평균 농도가 약 2 배 높게 나타남을 보인 기존연구(Jung et al., 2009;Shin et al., 2018)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Shin et al. (2018) 보다 더 큰 면적의 노인요양시설을 조사하였고 이에 따라 HCHO 농도가 더 낮게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추 론하였다.

    4. 결 론

    본 연구는 서울시 내 산후조리원과 노인요양시설 을 대상으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개 항목(CO2, HCHO, PM10, PM2.5, TBC)의 농도분포 및 특성을 조사 하고 각 시설 이용자 및 근무자를 대상으로 HCHO의 발암위해도를 산정하였으며 획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시설의 5개 항목에 대한 연도별 평균 농도 산 정 결과 모두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이내인 것으 로 조사되었다. 또한 각 항목의 연도별 농도분포 조사결과 CO2와 HCHO항목은 산후조리원이 노 인요양시설보다 높게 분포하였으며 PM2.5는 노 인요양시설이 산후조리원보다 더 높게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산후조리원과 노인요양시설에서의 PM2.5와 PM10 의 농도비를 조사한 결과 각각 0.69 ± 0.13, 0.67 ± 0.14로 PM2.5가 PM10에 차지하는 비율이 약 70%로 높게 분포하였다.

    3. 5개 항목과 실내 온·습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HCHO와 TBC 항목이 온·습도와 양의 상관 관계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HCHO 농도를 바탕으로 건강위해성평가 수행 결 과 HCHO의 산후조리원 이용자 발암위해도는 허 용위해도인 10-6 미만으로 안전한 수준으로 조사 되었으며 산후조리원 근무자, 노인요양시설 이 용자 및 근무자 발암위해도는 허용위해도인 10-6을 초과하였으나 최대 허용위해도인 10-4 미만으 로 조사되었다.

    <저자정보>

    박진솔(환경연구사), 박명규(환경주사보), 이호준(환경연 구사), 서민정(환경연구사), 장미희(환경연구사), 조수석(환 경연구사), 민병철(환경주사), 박은선(환경주사), 이상훈(환 경주사), 고민승(환경주사보), 김창모(환경연구사), 오석률 (환경연구관), 권승미(환경연구관), 신진호(환경연구관), 신용승(보건환경연구원장)

    Figure

    JOIE-22-1-46_F1.gif

    Distribu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by postnatal care center and elderly care facility from 2017 to 2021.

    Table

    Quantitative estimate of carcinogenic risk from inhalation exposure

    Exposure factors of worker and user in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Average concentra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by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from 2017 to 2021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ollutants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in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Excess cancer risks of HCHO in indoor air for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point estimate analysis)

    Excess cancer risks of HCHO in indoor air for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Reference

    1. Braniš, M. , Rezácová, P. , Domasová, M. ,2005. The effect of outdoor air and indoor human activity on mass concentrations of PM10, PM2.5, and PM1 in a classroom. Environmental Research 99(2), 143-149.
    2. Choi, S. J. ,2008. The Effect of Outdoor Air and Indoor Human Activity on Mass Concentrations of Size-Selective Particulate in Classroom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34(2), 137-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I. W. , Lee, J. S. , Kim, D. G. , Ryu, H. R. , Kim, T. H. , Lee, S. M. , Lee, J. Y. , Choi, Y. H. , Kim, H. J. ,2013. A Study Characteristic on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Risk Assessment in Medical Fc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10(2), 115-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an, B. W. , Hong, K. J. , Shin, D. H. , Kim, H. J. , Kim Y. J. , Kim, S. B. , Kim, S. W. , Hwang, C. H. , Noh, K. C. ,2019. Field tests of indoor air cleaners for removal of PM2.5 and PM10 in elementary school’s classrooms in Seoul, Korea.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15(2), 79-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eldal, K. K. , Halstensen, A. S. , Thorn, J. , Djupesland, P. , Wouters, I. , Eduard, W. , Halstensen, T. S. ,2003. Upper airway inflammation in waste handlers exposed to bioaerosol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0(6), 444-450.
    6. Hwang, S. H. , Seo, S. C. , Yoo, Y. , Kim, K. Y. , Choung, J. T. , Park, W. M. ,2017. Indoor air quality of daycare centers in Seoul, Korea. Building and Environment 124, 186-193.
    7.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2022. Agents classified by the IARC monographs. [cited 2022 October 11] Available from: URL: https://monographs.iarc.who.int/list-of-classifications/
    8. Jang, E. A. , Kim, J. S. , Kim, B. J. , Kim, M. J. , Park, I. B. , Kim, J. B. , Kim, K. S. , Lee, J. G. ,2017. A study on PM2.5 pollution in public use facilities in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2), 157-1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oen, J. I. , Lee, H. W. , Choi, H. J. , Jeon, H. J. , Lee, C. M. ,2021. The Distribu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by the Categories of Public-Use Facilities and Their Rate of Guideline Viol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7(5), 398-4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ung, K. S. , Kim, N. S. , Lee, J. D. , Hwang, B. Y. , Son, B. S. , Lee, B. K. ,2009. The Association of Subjective Symptoms of Students and Indoor Air Quality in Private Academic Facil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35(6), 468-4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ang, J. W. , An, C. J. , Choi, W. S. ,2020a. Indoor and Outdoor Levels of Particulate Matter with a Focus on I/O Ratio Observations: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Various Environments and Observations at Two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Pyeongtaek,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6(6-3), 1691-17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ang, K. M. , Bae, S. H. , Lee, Y. G. ,2020b. Assessment of cooking-generated particle removal efficiency of range hood with auxiliary air supply system.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9(2), 149-1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2020~2021. A survey of korean anthropometric.[cited 2023 February 18] Available from: URL: https://sizekorea.kr/human-info/meas-report?measDegree=8
    14.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STAT),2021. 2021 Postpartum Care Survey.[cited 2023 February 18] Available from: URL: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69936&page=5
    15.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2012. A study on the health impact and management policy of PM2.5 in Korea. [cited 2023 January 09]; Available from: URL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800042248
    16. Kim, Y. S. , Roh, Y. M. , Lee, C. M. , Kim, K. Y. , Kim, J. C. , Jeon, H. J. , Choi, D. M. , Kim, M. H. , Park, Y. J. ,2007. A Study of Excess Ratio for Guideline of Indoor Air Pollutants in Classroom of Kindergarten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4(1), 14-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S. H. , Jeong, S. K. , Lee, K. S. , Min, K. W. , Kim, H. S. , Kim, D. S. , Kang, Y. J. , Bae, S. J. ,2013.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Pollutants Using Regression Analysis in Public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16(2), 123-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inistry of Environment (ME),2002. A Study on Indoor Air Pollution Characterization and Management.
    19. Ministry of Environment (ME),2006. A Survey study of Rationalization for Public Facilities. [cited 2022 October 20] Available from: URL: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800033856
    20. Ministry of Environment (ME),2012.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anual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2019.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2019. [cited 2022 October 20] Available from: URL: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51898
    2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2010. A study on individual exposure assessment according to daily activities.
    2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2019. Korean exposure factor handbook
    24. Shin, H. J. , Park, W. S. , Kim, B. K. , Ji, K. H. , Kim. K. T. ,2018. Indoor Air Quality and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for Un-regulated Small-Sized Sensitive Population Facil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4(4), 397-4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1990.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cited 2022 October 12]. Available from: URL: https://iris.epa.gov/ChemicalLanding/&substance_nmbr=419#values
    26.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2011. Exposure factors handbook, EPA/600/R-900/052F.
    27.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1992. Guidelines for exposure assessment, EPA/600/Z-92/001.
    28. Yang, J. Y. , Kim, H. H. , Yang, S. H. , Kim, S. D. , Jeon, J. M. , Shin D. C. , Lim, Y. W. ,2010. Health Risk Assessment of Aldehydes and VOCs in the Activities Space of Young Children – Focused on Child-care Facilities and Indoor Playgrounds-.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25(1), 57-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